수능 시험 노하우

수능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윤리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②]

김카토 2018. 2. 19. 10:07

수능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윤리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②]

 

 

3. 덕 윤리적 접근

 

 (1) 덕 윤리의 의미

  •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따라 행위자의 품성과 덕성을 중요시
  • 의무론과 공리주의 비판 : 행위자의 내면의 도덕성과 인성의 중요성을 간과하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공동체의 전통을 무시하게 된다고 비판함

 (2) 덕윤리의 특징

  • 유덕한 품성을 강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인간의 삶에 관심을 가짐
  • 감정을 배제한 채 합리적으로 계산하는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강조
  • 도덕적 판단은 구체적이며 맥락적 사고를 반영해야 도덕적 실천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

 (3) 매킨타이어 : 개인의 자유와 선택보다는 공동체의 전통과 역사를 더 중요시

 

4. 배려 윤리적 접근

 

 (1) 등장배경

  • 기존의 남성 중심적이고 정의 중심적인 윤리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함
  • 길리건 : 여성과 남성의 도덕적 지향성이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 → 남성은 권리와 의무를 중요시하지만, 여성은 개별적인 관계, 특히 배려를 중요시
  •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는 배타적이거나 대립적인 것이 아니므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어야 함

 

 (2) 나딩스

  •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도덕판단 하는 것을 비판하며 관계를 중시함
  • 여성의 도덕적 특징인 타인에 대한 배려나 보살핌, 다른 사람에 대한 유대감이나 의존, 책임 등을 중시함

덕 윤리와 배려 윤리의 공통점

 - 인간 관계와 구체적 맥락에 주목 : 현실에서 발생하는 도덕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효과적

 - 도덕적 실천 효과 : 인간의 내적 특성, 감정 등을 고려함으로써 도덕적 행위를 일으킴

 

5. 책임 윤리적 접근

 

 (1) 심정 윤리와 책임 윤리

  • 심정윤리 : 행위자의 순수한 심정에서 나온 행위의 결과가 나쁠 경우, 그 책임은 행위자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게 있다고 주장
  • 책임윤리 : 예견할 수 있는 행위의 결과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음

 (2) 요나스의 책임 윤리

  • 기존 윤리가 인류 존속이라는 문제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
  • 윤리적 공백 :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기존 윤리와의 간극
  • 인간은 자연과 현세대 및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이 존재
  • 예견할 수 있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 및 미래 지향적 당위를 강조함

6. 담론 윤리적 접근

 

 (1) 담론 윤리의 특징

  •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의 정당성을 공적 담론에서 찾음
  • 이성적으로 논의하는 능력을 가진 시민이 사회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

 (2) 하버마스

  • 의사소통의 합리성이 실현되야 서로 갈등하는 다양한 의견을 합리적으로 논의하여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대화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합의 결과를 수용할 수 있다고 주장함
  •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실현하려면 담론에 참여한 사람들이 옳고 진실하며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말을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