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시험 노하우

수능 과학탐구 공부방법

김카토 2018. 2. 6. 11:17

수능 과학탐구 공부방법

 

수능 과학탐구 과목은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먼저 자신이 좋아하거나 잘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응시인원수가 많은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무난한 방법입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을 선택한다면 내신 + 수능을 동시에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지원 대학의 반영과목과 대학별고사까지 고려한다면 더더욱 좋습니다.

 

과학탐구는 크게 교과 개념 + 자료 분석 및 해석 능력이 필요한 교과목입니다.

특히 자료 해석 능력이 정말 중요한 과목인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정확한 교과 개념이 뒷받침되어야 겠죠?

자료나 실험, 탐구 내용 또한 외우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물리

 

물리를 공부하면서 공식만 외우는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 공식만 외운다고 해서 다가 아닙니다.

물리 공식은 주변의 보편적인 현상을 수식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따라서 암기와 이해를 동반하면 문제를 더 수월하게 풀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가 요구하는 공식을 바로바로 생각해 낼 수도 있습니다.

고난이도 문제는 연계 교재로 연습할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를 풀어가는 방법을 여러 번 반복해서 시간을 단축시키는 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화학

 

화학은 많은 시간과 연습이 필요한 과목이므로 화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이라면

빨리 탐구과목을 결정하고 공부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만의 단권화 노트를 만들 것을 추천합니다.

중요한 개념들을 직접 정리해야 오래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한 권의 기본서를 정해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틈틈이 기본서를 읽으면서 흐름을 이해하고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생명과학

 

생명과학 개념 암기는 기본입니다. 용어나 개념설명을 철저하게 암기하는 게

문제풀이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자료 해석도 어떤 자료와 문항이 변형되어

출제되었는지 꼼꼼하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계산문제는 반복해서 계속 풀어보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생명Ⅰ,Ⅱ의 계산형 문제는 반드시 나오는 유형인데요.

계산형 문제를 반복적으로 풀어야 익숙해지기 때문에 무한 반복하시기 바랍니다.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전체의 스토리를 파악하는 식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상생활과 연관되어 있는 기상, 환경, 우주 등의 내용은 다른 과학탐구 과목에 비해 더 친근하게 느껴져

스토리를 이해하는 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지구과학Ⅰ의 '지질재해'.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은 사례가 많이 활용되는 파트입니다.

최근에 일어난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한다면 자료와 사례 문제도 잘 풀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