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수험생을 위한 초간단 대학입시 용어 정리②
고3 수험생을 위한 초간단 대학입시 용어 정리②
입시에 관련해서 정확하게 알고있어야 제대로 준비하고 대비할 수 있는데요.
①편에 이어 정시와 관련해서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입시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시를 준비할 때 필요한 입시 용어들>
배치표 |
수험생의 수능 점수(표준점수, 백분위)를 기준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과 학과를 한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
|
가산점 |
문이과 교차 지원이 가능한 학과에서 이과 학생들의 불리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학(가) 또는 과탐 응시자에게 주어지는 점수 ex) 수학(가) 응시생에 12% 가산점을 준다고 가정했을 때 → 백분위 83점을 받았다면, 백분위 95점으로 가산됨. |
원점수 |
수험생의 수능 시험 점수를 단순히 합산한 점수를 뜻합니다.
|
표준편차 |
전체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표준편차가 크면 최하위와 최상위의 점수 차이가 크며, 표준편차가 작으면 많은 학생들이 평균에 가까운 점수를 받은 것 입니다.
|
표준점수 |
과목별 난이도가 달라 생기는 불리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원점수를 '보정한' 점수입니다. 평균이 낮은 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표준점수가 높게 나오고, 표준점수가 높을수록 수능 난이도가 높고 변별력이 높습니다. ※ 표준점수 계산법 국어, 수학, 영어 : (원점수 - 평균점수) / 표준편차 × 20 + 100 탐구 영역 : (원점수 - 평균점수) / 표준편차 × 10 + 50
|
백분위 |
전체 수능 응시자에서 내 점수보다 낮은 점수의 수험생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점수 백분위가 높을수록 나보다 낮은 점수의 학생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
변환표준점수 |
탐구 과목 선택에 따른 유리함과 불리함을 완화하기 위해 백분위 점수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백분위가 99인 학생은 탐구 과목에 관계없이 모두 64점을 주고, 백분위가 98인 학생은 모두 63.77점을 줘서 과탐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합니다.
|
대학별 환산점수 |
수험생의 성적을 대학별 점수 반영 방법에 맞춰 변환한 점수입니다. 각 대학 입학처에 들어가면 자세한 기준을 알 수 있습니다.
|
일정배수 |
모집인원에서 그 배수를 곱하여 선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최종 10명 선발인 학과 1차 서류 전형에서 5배수로 선발할 때, 1차 선발 인원은 50명에 해당합니다.
|
영역별 가중치 |
대학에서 정한 특정 과목(영역)을 응시한 수험생들에게 본인의 점수에 비례한 플러스 점수를 부여하는 것 입니다.
|
수시이월 |
수시 전형에서 선발하지 않은 학생의 수만큼 정시 전형 선발 인원에 더해지는 것 입니다.
|
분할모집 (정시 군별 모집군) |
대학에서 가군, 나군, 다군으로 전형일정을 나누어서 모집하는 것을 뜻합니다. |
교차지원 |
문과가 이과에 해당하는 학과에 지원하거나, 이과가 문과에 해당하는 학과에 지원하는 것 을 의미합니다. 교차지원이 되는 학과가 있고 안되는 학과가 있기 때문에 대학별 세부 모집 요강을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추가모집 |
정시에서 모집하지 못한 인원을 정시 모집기간 이후에 추가로 모집하는 것을 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