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시험 노하우

수능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규범 윤리학의 분류]

김카토 2018. 2. 1. 11:48

생활과 윤리 [규범 윤리학의 분류]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1번 문제에 규범 윤리학과 관련된 문제가 고정적으로 등장하는데요.

오늘은 규범 윤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규범 윤리학의 분류

 

(1) 이론 규범 윤리학 : 어떤 원리가 윤리적 행위를 위한 근본 원리로 성립할 수 있는지 연구하는 학문

                             → 윤리 이론의 정립 · 정당화

 

(2) 응용 윤리학 (실천 윤리학)  : 이론 규범 윤리학을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한 토대와 근거 마련

                                          → 윤리 문제의 해결 촉구

                                         인접 학문과의 상호 협력을 중시함  → 학제적 성격

 

(3) 이론 규범 윤리학과 응용 윤리학의 관계

  • 응용 윤리학은 이론 규범 윤리학을 토대로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규범과 원칙을 탐구하며, 이를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합니다.
  • 이론 규범 윤리학과 응용 윤리학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  → 윤리 문제에 적용 및 응용 하기 위해서는 도덕 원칙이 필요합니다
  • 이론 규범 윤리학이 도덕 원리의 근거를 제시한다면, 응용 윤리학은 원리의 적용을 통한 문제의 해결에 중심을 둡니다.

 

(4) 응용 윤리학의 등장 배경과 관심 분야

  • 등장배경 : 현대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 그리고 우리에게 친숙했던 일부 제도들이 사회 변화에 따라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새로운 윤리 문제를 낳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해짐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 관심 분야 : 생명윤리, 성(性)윤리, 정보윤리, 환경윤리, 사회윤리, 문화윤리, 평화 윤리 등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앞으로 배우게 되는 내용들은 모두 응용 윤리학에 속합니다.

 

(5) 이론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이론 규범 윤리학과 응용 윤리학에 관련된 문제가 자주 출제되지만 종종 메타 윤리학에 관련된 내용이 출제되기도 합니다.

메타 윤리학과 이론 규범 윤리학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선지로 자주 출제되기 때문에 메타 윤리학에 대한 선지들을 쭉 정리해보는 걸 추천합니다.

 

  • 이론 규범 윤리학 : 하나의 도덕 원리나 기준이 모든 도덕 행위자들에게 타당하고 정당화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 객관적이며 보편적인 목적이나 법칙의 존재에 대해 믿음

           ex) "선과 악, 옳고 그름이란 무엇인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메타 윤리학 : 도덕적 논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분석하고, 도덕적 신념이 참 또는 거짓으로 확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 도덕적 언어의 의미 분석

           ex) "옳음과 그름의 의미는 무엇인가?", "선과 악의 의미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