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문법 : 국어의 음운 변동
수능 국어 문법 : 국어의 음운 변동
- 음운 변동 : 음운이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바뀌는 현사
ex) 맏+형→[마텽], 국+물→[궁물]
- 음운 변동의 종류
1. 교체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절의 끝에서 'ㄱ,ㄴ,ㄷ,ㄹ,ㅁ,ㅂ,ㅇ'의 일곱 소리로만 발음되는 현상 ex) 부엌→[부억], 밖→[박] |
비음화 |
'ㄱ,ㄷ,ㅂ'이 비음 앞에서 각각 비음인 'ㅇ,ㄴ,ㅁ'으로 바뀌는 현상 ex) 막는→[망는], 잡는다→[잠는다] |
유음화 |
'ㄴ'이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인 'ㄹ'로 바뀌는 현상 ex) 칼날→[칼랄], 난로→[날로] |
구개음화 |
'ㄷ,ㅌ'이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날 때 'ㅈ,ㅊ'으로 바뀌는 현상 ex) 미닫이→[미다지], 굳히다→[구치다] |
경음화 (된소리되기) |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ex) 책상→[책쌍], 덥고→[덥꼬] |
2. 탈락 :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끝에서 겹받침의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ex) 몫→[목], 값→[갑] |
'ㄹ'탈락 |
'ㄹ'이 끝소리인 어근이 다른 어근이나 접사와 결합하거나, 'ㄹ'이 끝소리인 어간이 일부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는 현상 ex) 바늘+-질→[바느질] |
'ㅎ'탈락 |
어간에서 음절의 끝 자음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결합할 때 탈락하는 현상 ex) 넣어→[너어] |
'으'탈락 |
어간의 끝소리 '으'가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ex) 담그-+-아라→[담가라] |
3. 첨가 : 없던 음운이 덧붙는 현상
'ㄴ'첨가 |
파생어나 합성어에서, 또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할 때 'ㄴ'이 그 사이에 덧붙는 현상 ex) 색연필→색년필→[생년필] |
반모음 첨가 |
반모음 'ㅣ'가 덧붙는 현상으로 'ㅣ'를 붙여 발음해도 허용됨 ex) 아니오→[아니오/아니요] |
4. 축약 :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합쳐져서 제 3의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거센소리되기 |
'ㄱ,ㄷ,ㅂ,ㅈ'이 인접한 'ㅎ'과 결합하여 'ㅋ,ㅌ,ㅍ,ㅊ'으로 바뀌는 현상 ex) 놓지→[노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