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시험 노하우

수능 탐구 선택 가이드

김카토 2018. 1. 19. 11:07

수능 탐구 선택 가이드

 

수능 탐구 과목,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자신에게 유리할까요?

오늘은 탐구과목 선택 가이드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구분

사회탐구영역 (최대 2과목 선택 가능)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법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인원(명)

184,127 

37,419

80,131 

45,798 

30,219 

22,801 

30,946 

6,675 

167, 959

비율(%)

 60.62

 12.32

26.38

15.08 

9.95 

7.51 

10.19 

2.20 

55.30

 

등급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한국지리 

사회문화 

1등급

50

63

97

50

64

96

47

67

96

47

65

96

2등급

47

61

88

47

62

86

43

64

91

45

63

90

3등급

45

59

77

44

60

75

37

59

76

40

60

79

4등급

39

55

59

36

55

59

29

53

59

34

55

61

 

2018학년도 수험생들의 선택과목 비중과 수능 등급컷을 살펴보면

생활과 윤리 선택자 수가 60% 가량으로 절대적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표준 점수를 고려해보면 학습량이 적고 쉽게 출제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생활과 윤리 과목의 1등급 표준점수는 63점으로 다른 과목에 비해 낮기 때문에

쉬운 과목이라고 해서 무조건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남들에게 쉽다고 나에게도 쉬운 것은 아니라는 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탐구영역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점을 물어보면

재미있는 (쉬운) 과목이 압도적인 1위 이고,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 학습 내용의 부담이 적은 과목,

과목 간 유사성, 응시생 수, 난이도에 따른 변환 표준점수 편차 순으로

고려한다고 답변 합니다.

 

자신이 재미있어 하고 흥미를 느끼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데요.

고 2, 3학년 때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을 미리 파악하면

내신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수능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는 자신의 성적표를 분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흥미도, 선택자 수도 모르겠다면?

중학교 때와 고등학교 1학년 때의 성적표를 보고

성적이 잘 나왔던 과목을 중점적으로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한 과목은 선택했는데, 나머지 하나 때문에 고민이라면?

선택한 과목과 유사 계열의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중복 개념이 있을 수도 있고, 출제 유형이나 경향도 비슷하기 때문입니다.